본문 바로가기
제로웨이스트

제로 웨이스트 실천으로 한 달에 5만 원 아끼는 법 (지역별 사례 소개)

by liha0117 2025. 6. 28.

환경을 생각해 시작한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 실천, 알고 보면 경제적으로도 이득이 됩니다. 최근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제로 웨이스트 = 절약’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데요, 실제로 제로 웨이스트를 실천하면서 한 달에 5만 원 이상 절약</strong한 사례도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지역 기반 제로 웨이스트 실천을 통해 소비를 줄이고 지출을 아낀 실제 사례를 소개하며, 여러분도 바로 따라할 수 있는 실전 절약 방법을 제안합니다.

 

1. 서울 마포구 – 리필샵 활용으로 세제 비용 40% 절감

서울 마포구에 사는 직장인 A씨는 주 1회 ‘알맹상점’을 방문해 주방세제와 세탁세제를 리필합니다. 기존에 500ml짜리 일회용 제품을 2~3천 원씩 구매했지만, 리필 방식으로 단가를 낮춰 한 달에 약 12,000원 절약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용기를 재사용하니 플라스틱 쓰레기도 줄고 환경 부담도 함께 감소하죠.

 

2. 부산 수영구 – 공유물품 이용으로 대형가전 구매 안 함

부산에 거주하는 자취생 B씨는 이사 직후 ‘수영구 공유센터’를 통해 청소기, 전자렌지, 전기밥솥 등을 무료로 대여해 약 30만 원 상당의 초기 가전 구입 비용을 아꼈습니다. 물론 매달 필요할 때만 빌려 쓰며 유지비와 공간 낭비도 줄였고, 쓰레기 배출 역시 제로에 가깝게 유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3. 대전 서구 – 재래시장 + 장바구니 소비 습관으로 식비 절감

대전의 C씨 가족은 매주 토요일 둔산재래시장을 방문해 장바구니와 다회용 용기를 들고 장을 봅니다. 소포장 식품을 피하고 필요한 만큼만 사기 때문에 일주일 식비가 평균 8,000~10,000원 감소</strong했습니다. 한 달이면 약 3만~4만 원 절약 효과가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도 덩달아 줄었습니다.

 

4. 광주 북구 – 플로깅으로 운동비 대체 + 봉사 혜택

광주 북구에서 활동하는 대학생 D씨는 주 2회 ‘줍깅단’ 플로깅 모임에 참여합니다. 헬스장 대신 공원에서 뛰며 쓰레기를 줍는 활동을 통해 운동비를 아끼고, 봉사활동 시간 인정까지 받아 실질적인 절약 효과를 얻고 있죠. 쓰레기봉투와 집게 등은 무료로 제공돼 추가 지출도 없습니다.

 

5. 제주 제주시 – 용기내 챌린지로 커피값 할인

제주시에 거주하는 프리랜서 E씨는 ‘용기내 챌린지’에 참여해 개인 텀블러 지참을 생활화했습니다. 카페에서 평균 300~500원씩 할인받아, 한 달 기준 커피값에서 약 7,000원 정도를 아끼고 있습니다. 자주 가는 카페 3곳은 스탬프 적립도 병행해 할인 + 리워드 혜택을 동시에 누리고 있다고 합니다.

 

실천으로 이어지는 5가지 절약 포인트

  • 리필 제품 활용: 세제, 식재료, 화장품 등을 기존 용기에 담아 저렴하게 구매
  • 공유 자원 사용: 캠핑용품, 공구, 가전 등은 주민센터·도서관에서 대여
  • 전통시장 장보기: 비닐·소포장 줄이고 신선한 재료를 더 싸게 구매
  • 플로깅 참여: 운동비 절약 + 봉사활동 실적 확보
  • 텀블러 챙기기: 카페 할인 + 1회용 컵 절감

 

제로 웨이스트는 결국 ‘지출을 줄이는 습관’

제로 웨이스트는 환경을 지키는 실천이기도 하지만, 소비를 줄이고 비용을 절약하는 현명한 삶의 방식이기도 합니다. 지역 인프라와 서비스를 잘 활용하면 지갑은 가볍지 않고, 쓰레기만 가벼워집니다.

오늘부터는 ‘버리지 않는 소비’를 목표로, 우리 동네에서 바로 실천할 수 있는 제로 웨이스트 루틴을 만들어보세요. 한 달에 5만 원 이상 아끼는 습관, 지금 당장 시작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