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로웨이스트

제로 웨이스트 어렵지 않아요! 지역 기반 친환경 생활 시작 가이드

by liha0117 2025. 6. 28.

“제로 웨이스트는 어려운 거 아닌가요?” 이런 질문을 자주 듣습니다. 하지만 사실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는 거창하거나 불편한 일이 아닙니다. 지금 내가 사는 동네에서, 오늘부터 충분히 시작할 수 있는 작고 친환경적인 선택들로 이뤄집니다.

 

이 글에서는 제로 웨이스트를 처음 시작하는 분들을 위해, 지역 자원을 활용한 실천 가이드를 소개합니다. 실생활 중심의 예시로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정리했으니, 천천히 읽어보시고 여러분의 동네에서 한 걸음 시작해보세요!

 

1. 우리 동네 리필 스토어로 플라스틱 줄이기

서울, 대전, 부산, 광주 등 대부분의 도시에 하나쯤은 있는 제로 웨이스트 리필샵은 제일 실천하기 쉬운 장소입니다. 예를 들어 서울 망원동의 ‘알맹상점’, 대전 둔산동의 ‘리필러블’, 부산 수영구의 ‘제로샵’에서는 세제, 샴푸, 곡물, 견과류 등을 자신의 용기에 원하는 만큼만 담아 살 수 있습니다.

 

Tip: ‘제로웨이스트맵’ 앱을 통해 집 근처 리필샵을 쉽게 찾을 수 있어요!

 

2. 시장에서 장볼 땐 ‘용기내기’ 실천하기

대형마트 대신 동네 재래시장을 이용하면 과포장 없이 필요한 만큼만 살 수 있습니다. 계란은 종이상자에, 두부는 밀폐용기에, 채소는 장바구니에 담는 습관을 들이면 비닐·스티로폼 쓰레기를 크게 줄일 수 있죠. 요즘엔 시장 상인분들도 “용기 챙겨오셨네요~” 하고 반겨주시는 경우가 많답니다.

 

3. 동네 주민센터나 도서관의 공유 물품 이용하기

각 지역 주민센터, 도서관 등에서는 생활용품 대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텐트, 전동드릴, 의자, 빔프로젝터까지도 빌릴 수 있어, 꼭 사지 않아도 되는 물건은 공유로 해결할 수 있어요. 서울시의 ‘공유허브’, 성남시의 ‘공유공간365’ 등을 참고하면 지역별 대여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SNS나 밴드에서 플로깅 모임 찾아보기

플로깅(Plogging)은 조깅을 하면서 쓰레기를 줍는 활동으로, 환경 보호와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습니다. 요즘엔 지역 기반 커뮤니티에서도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어요. ‘플로깅코리아’, ‘줍깅단’, ‘지구별줍줍’ 등은 동네 산책로, 공원 등에서 주기적으로 플로깅 모임을 진행하며 초보자도 편하게 참여 가능합니다.

 

5. 오늘 당장 시작할 수 있는 3가지 제로 웨이스트 습관

  • 텀블러 하나 챙기기: 카페 할인 + 일회용컵 쓰레기 절감
  • 장바구니에 밀폐용기 넣기: 시장 장보기 시 포장 줄이기
  • 필요한 물건 빌리기부터 검색하기: 구매 대신 공유 대여

 

꾸준한 한 걸음이 지구를 바꿉니다

제로 웨이스트는 ‘모든 걸 완벽히 실천하는 것’보다, 나의 일상 속에서 한 가지라도 바꾸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이 순간부터, 친환경 선택을 한 번 실천해보세요. 장바구니에 텀블러를 넣는 것도, 리필샵에 가보는 것도, 이웃과 물건을 공유하는 것도 좋은 시작입니다.

 

제로 웨이스트, 어렵지 않아요. 우리 동네에서, 오늘부터, 당신의 속도대로 시작하면 됩니다. 😊